가뭄 모니터링/예측

Korea and East Asia Soil Moisture Monitor

JULES (Joint UK Land Environment Simulator; Best et al., 2011) 지면모델을 ERA5 (ECMWF Reanalysis v5; Hersbach et al., 2020) 재분석 자료와 GPCP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과거(1981년)부터 최근까지 적분한 결과.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 최근 10일 평균 토양수분(0m – 3m)의 아노말리(1991-2010 climatology 대비)를 나타냄. 가뭄 강도 구분은 미국 NOAA의 가뭄 강도 기준을 따름(https://droughtmonitor.unl.edu/).

Korea Fire Weather Seasonal Prediction

Korea Soil Moisture & Drought Monitor and Prediction

한반도(33-40N, 125-130E)의 평균 토양수분(0m – 3m)의 아노말리(1982-2010 climatology 대비)를 나타냄.
CFSv2-JULES : 모니터링을 통해 초기화된 한반도(33-40N, 125-130E)의 평균 토양수분(0 – 3m)의 아노말리(1982-2010 climatology 대비)를 나타냄. Bias correction된 미국 CFSv2 (NCEP coupled forecast system model version 2) 모델의 예측 대기조건 & 강수를 JULES에 입력하여 토양수분 예측(매달 21일 00시부터 25일 18시까지, 총 20개 앙상블)
Wet/Dry random case : 과거(1982-2010) 관측자료 기준 월강수가 지속적으로 많을/적을 경우(상/하위 20%)의 시나리오를 가정하였을 때 미래 토양수분 예측(시나리오 별로 10개 앙상블)
Drought intensity : 미국 NOAA(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) 가뭄 분류기준을 따름. D0(21-30 퍼센타일 토양수분), D1(11-20 퍼센타일 토양수분), D2(6-10 퍼센타일 토양수분), D3(3-5 퍼센타일 토양수분)으로 나눔.

본 모니터링/전망 자료는 가뭄특이기상연구센터의 시험운용 결과로, 기상청의 공식 예측결과가 아닙니다.
홈페이지 내용의 무단게재를 금지하며, 협의가 필요한 사항은 관리자(climatepredictionlab@gmail.com)에게 연락하여주시기 바랍니다.